건강 정보

청소년 2가 백신 부작용 알려드릴게요

음메쌤 2022. 12. 12.
반응형

오늘(12일)부터 코로나19 2가 백신을 활용한 12~17세 청소년 대상 동절기 추가접종이 시작됩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 후 또는 코로나 감염 후 적잖은 후유증을 겪었던 경험이 있는 경우, 추가접종을 고민하게 됩니다. 과연 추가 백신을 접종하는 게 더 좋을지 부작용은 없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청소년 백신
청소년 백신

청소년 백신 종류

12~17세 청소년 접종에 사용하는 2가 백신은 총 2종입니다. 화이자 오미크론 BA.1 기반 백신 또는 BA.4/5 기반 백신 중 하나를 선택해 접종하면 됩니다. 단, mRNA 백신 성분에 중증 알레르기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mRNA 접종을 원하지 않는 경우 등 예외적인 경우에는 유전자 재조합백신(노바백스)으로 접종이 가능합니다.

 

청소년 백신
청소년 백신

청소년 백신 부작용

2가 백신 접종 청소년에서 발생한 이상반응은 기존 백신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2가 백신 청소년 접종이 이미 진행 중인 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청소년 접종에서 발생한 2가 백신 이상반응 보고는 기존 백신인 단가 백신과 비슷합니다. 접종 후 나타나는 증상 대부분(94.3%)은 주사부위 통증 등 일반적인 증상이었습니다. 가장 많이 나타난 증상 세 가지를 보면, 주사 부위 통증이 66.9%, 피로 45.2%, 발열 36.3%로 중증 반응은 없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청소년도 2가 백신 접종 후 단가 백신 접종 이후와 비슷한 이상반응을 보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청소년 기준, 단가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97%는 두통 등 일반 이상사례였습니다.

 

청소년 백신
청소년 백신

청소년 백신 맞아야 될까?

방역당국은 코로나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청소년이라면, 적극적으로 2가 백신 접종에 참여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고위험군의 코로나 사망률은 높은 편입니다. 코로나로 인한 청소년 누적 사망자 18명 중 77.8%(14명)가 고위험군이었습니다.

정부가 공지한 12~17세 중 접종이 필요한 고위험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성 폐질환, 만성 심장질환, 만성 간질환, 만성 신질환, 신경-근육질 환자 

▲당뇨, 비만, 면역저하자(면역억제제 복용자)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시설에서 치료, 요양, 수용 중인 청소년 

▲이와 비슷한 수준의 고위험군이면서 의사가 접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한편, 겨울철 코로나 재유행이 시작된 10월 중순 이후 10대 코로나 확진자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재감염 추정 사례 비율은 17.65%로, 평균 재감염률인 13.29%보다 높입니다. 현재 유행을 주도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오미크론 변이이며, 청소년은 오미크론 변이주에 3~5배 더 쉽게 걸리고, 두 번째 감염 위험이 성인보다 약 1.8배 높입니다.

청소년 백신

정리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아직도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추가 접종을 맞아야 되는지 고민하실 거예요! 백신 부작용 때문에 겁이 나서 못 맞는 분도 있고, 코로나에 걸렸을 때 잘 극복하기 위해서 접종을 맞으신 분도 있고.. 개인 선택의 문제니까 신중하게 생각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반응형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