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맹추위가 기승을 부릴수록 조심해야 하는 질환이 바로 고혈압입니다. 추워질수록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압이 올라가기 쉽기 때문입니다. 고혈압은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한번 발병하면 쉽게 사라지지 않습니다. 이번 겨울도 건강하게 지내려면 혈압 건강부터 챙겨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혈압을 올리는 가공식품 주의사항과 생활 속 혈압 관리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겨울철에 혈압이 올라가는 이유
혈압은 추울 때 크게 올라갑니다. 바깥 기온이 떨어지면 땀을 적게 흘리고 말초 혈관이 수축하여 피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여름에 비해 겨울에 혈압이 급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고혈압 환자는 난방을 하는 실내와 바깥 기온 차에 따른 혈압의 변화가 심합니다. 추위가 닥치면 혈액이 진해지고 지질 함량이 높아집니다. 혈관 수축이 촉진되어 혈압 상승으로 인한 동맥경화증의 합병증도 우려됩니다. 아침에는 혈관 수축이 활발해져 혈압이 크게 상승하는데, 여기에 새벽 운동 시 차가운 바깥 날씨를 만나면 심장발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혈압 올리는 음식
고혈압의 위험요인은 염분 과다 섭취, 비만, 운동 부족, 흡연 등입니다. 짠 음식이 혈압을 올리기 때문에 가급적 싱겁게 먹어야 합니다. 우리나라 성인은 혈압 상승 요인 중 하나인 나트륨의 95% 이상을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전체 식품 섭취량 중 가공식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70%에 달했습니다. 가공식품이란 채소, 과일 등 원료 자체를 먹는 천연 식품이 아닌 음식을 말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자료에 따르면, 가공식품을 식품 원료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거나 그 원형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형시킨 식품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고혈압 대처법
고혈압을 잘 조절하지 않을 경우 뇌졸중, 심부전, 심근경색, 부정맥, 신부전 등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경증 고혈압 환자에서 4주간 염분 섭취를 1일 3g으로 줄인 결과, 1일 12g의 염분을 섭취한 경우에 비해, 수축기 혈압은 16mmHg, 이완기 혈압은 9mmHg 정도 감소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소금 섭취를 줄이기만 해주셔도 상당한 혈압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 치료와 함께 예방을 위해서는 과일과 채소를 곁들인 저염분 식사를 하면서 매일 빠르게 걷기 등 중등 강도로 30분 정도 운동을 하는 게 좋습니다. 금연은 필수이고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게 도움이 됩니다.
정리
오늘은 한겨울 혈압이 높아지는 이유와 대처법, 주의사항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평소 혈압이 높으신 분들은 각별히 주의하여 건강관리를 잘 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레스테롤 줄이는 음식 5가지 알려드릴게요! (0) | 2023.02.25 |
---|---|
겨울철 피부에 좋은 음식 알려드림 (0) | 2023.01.01 |
축농증 증상 치료법 알려드림 (0) | 2022.12.26 |
살 찌는 이유 6가지와 대처법 알려드림 (0) | 2022.12.26 |
겨울철 변비 증상 원인 해결책 알려드림 (0) | 2022.12.25 |
댓글